top of page

이태원 참사 트라우마


안녕하세요. 김민지 입니다.


현재 많은 아이들이 쉽게 이태원 참사의 사고 현장을 그대로 보여주는 영상을 뉴스와 각종 대중매체 로부터 접한다고 합니다. 문제는 그런 영상들을 자/타의 적으로 접하고 나서 자기 전까지 그 장면이 계속 생각난다며 밤잠을 설치거나 급성불안증세를 호소하여 클리닉으로 오기 시작했습니다.


충격적인 뉴스를 반복해서 접한다면 자신이 직접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지 않더라도 정신 건강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마치 자신이 그런 사고를 겪은 것처럼 느껴 가벼운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를 겪게 될 수도 있습니다. 재난에 직접 노출되지 않더라도 언론과 SNS를 통해 재난 상황을 간접 경험할 때 공포와 불안 등의 감정을 담당하는 뇌의 편도체가 악영향을 받아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우울증 등의 증상을 겪게 되는 것 입니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 증상은 재난 후 바로 시작되고 만성화되기 쉽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직접 사건을 겪거나 목격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노출되기만 해도 심리적 트라우마를 충분히 겪을 수 있습니다. 미디어 유발 트라우마(media induced PTSD)에 관한 연구 결과도 많은 만큼 특히 어린이나 청소년의 경우 영상 접촉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디지털기기에 항상 노출이 되어 있는 환경이기에 무작정 접근을 방지할 수는 없을 것 입니다. 허나, 부모님들께서 충분한 대화를 나눠주시며 아이들이 현명하게 현 사태를 헤쳐나갈 수 있도록 힘쓰실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안내드려봅니다.


감사합니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 우울증의 6가지 신체적 증상 🌟

임상 심리학자로서, 종종 간과되는 우울증의 신체적 증상에 대해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우울증은 단순히 정신 건강 상태가 아닌 우리의 신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여러분이 경험할 수 있는 여섯 가지 흔한...

 
 
 

コメント


Dr. Minji Kim's Clinical Psychology 

bottom of page